[출처 : 직접 작성]
투넘버 부가서비스를 사용하시는 분들의 가장 큰 목적은 자신의 실사용 번호 유출을 막고자 사용하는 목적이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이통3사에서 제공하는 투넘버서비스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렇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투넘버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보다 차라리 알뜰폰으로 이용하는 것을 더 권해드립니다. 알뜰폰으로 이용하는 것이 더 편하고 실용적이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를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첫 번째로, 번호 2개를 꼭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필요성 입니다.
투폰서비스를 왜 사용해야 하고, 왜 굳이 번호 2개를 이용해야 하는지 필요성에 대해 먼저 언급이 필요할 듯 싶습니다. 투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번호 2개를 사용하는 분들은 점점 많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인데요. 정보 유출의 문제가 가장 큽니다. 우리가 인터넷 홈페이지 회원가입을 할때는 은행,보험,카드사 등등 여러 곳에 가입할때 개인정보를 등록할때 휴대폰 번호를 등록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특히 주민번호 수집이 법으로 금지되어 휴대폰 번호 등록은 더더욱 필수가 되어 버렸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되는 것은 이렇게 개인정보를 수집한 회사들이 관리를 소홀히하여 개인정보 유출이 계속 되고 있고 매스컴에 자주 보도되는 등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에 대한 대응책으로 예비용 번호를 하나 더 만들어서 회원가입시 연락처로 등록할 필요성이 생긴 것입니다.
세컨 번호를 하나 더 만들어 여려 은행,카드사,보험사,인터넷 사이트,마트,홈쇼핑 등등에 등록을 해놓습니다. 그렇게 되면 정보 유출이 되더라도 세컨번호만 유출이 되지 실번호는 유출되지 않습니다. 세컨번호는 버리는 번호이다라는 인식으로 하나 더 만들어 여기저기 알려주고 등록하면 실번호의 유출방지에 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살다보면 일회성 인연, 직장 동료등 번호를 알려주기 싫은 사람이 있는데 안 알려줄 수는 없고 마지못해서 알려주는 것입니다. 이때 세컨번호를 하나 더 만들어서 알려주면 실번호를 보호하는데도 편합니다. 실번호는 가족이나 가장 믿고 친한 지인들만 알려주고 세컨번호는 일회성 인연, 직장 동료, 카드,은행,보험사,인터넷사이트 등에 등록해 놓으면 됩니다.
참고로 가족이나 친한 지인들에게는 실번호와 세컨번호 모두 알려줘도 무방합니다. 그 이유는 연락이 신속하게 안될시 상대방이 두 번호 모두 전화해서 좀 더 신속하게 통화하기 위함이며, 두번째로는 폰을 분실했을때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중에서 분실폰 관련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두 번째로, 알뜰폰 월정액이 투넘버 부가서비스보다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이통3사의 투넘버 부가서비스는 평균 기본료가 부가세 포함해서 3300~4400원 정도됩니다. 번호 2개를 사용하게 되면 휴대폰별로 기본료를 정해야 하는데요, 실번호는 LTE요금제로 가입을 하고 세컨번호를 하나 더 개통을 하되 '알뜰폰'으로 개통하게 되면 오히려 더 싸게 먹힙니다. 알뜰폰 요금제 중에서 제일 저렴한 요금제는 월 500원부터 아주 다양한데요. 알뜰폰 월정액 3300~4400원 정도면 이통3사 투넘버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와 통화량이 제공됩니다. 알뜰폰을 안 쓸 이유가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
세 번째로, 번호별로 관리하기 편합니다.
아무래도 번호가 2개다 보면 번호별로 따로 관리하는데 편합니다. 물론 KT, LG에서 제공하는 투폰서비스도 따로 관리할 수 있지만 아무리 그래도 실번호와 비교할 바는 못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네 번째로, 카카오톡을 관리하기 편합니다.
이통3사에서 제공하는 투폰 번호로 카카오톡을 등록할 수 있는 경우는 위에도 언급했지만 SK는 아예 불가능하고, KT와 LG 투넘버는 가능하지만 그래도 실번호가 훨씬 낫지 않을까요? 그리고 SK, KT, LG는 실번호가 아니라 카톡 번호로 사용하다 실 번호로 사용하고 싶을 때 안된다는 제약이 있습니다.
다섯 번째로, 통화 커버리지 지역이 넓어져 통화의 편리성을 위해서입니다.
이통3사가 모두 나름대로 통신 기지국을 구축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지역마다 편차가 있어 어느 지역에는 LG가 잘 터지고 또 어느 지역에는 SK가 잘 터지고 또 어느 지역에는 KT가 잘 터지는 지역이 있습니다.
만약에 특정통신사 통신망이 잘 안터지는 지역으로 놀러갔다가 통화가 안될 경우, 그 상황에서 천재지변의 돌발적인 사고가 날 경우 전화가 안되는 난감한 상황이 생길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알뜰폰을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인데요, 알뜰폰을 추가로 개통하되 통신사를 모두 다르게 이용하라는 것입니다. 실번호는 SK라고 한다면 세컨번호는 KT나 LG로 이용하는 식으로 두 폰의 통신사를 각각 다르게 이용하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어느 지역으로 이동하더라도 음영지역에 대비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서울 한복판에 있는 건물 지하인데 특정통신사만 터지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에서도 특정 통신사만 터지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굳이 지방이 아니더라도 서울에서 특정 공간에서도 이런 음영지역도 충분히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만약의 경우에 대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2018년 11월 23일 자로 KT아현지사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중구, 종로구, 마포구, 용산구, 서대문구, 경기도 고양시의 KT회선이 장애가 생겨 인터넷은 물론이고 신용카드결제, 통화도 장애가 발생하였습니다. 관련 뉴스를 올립니다.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rankingType=popular_day&oid=018&aid=0004259189&date=20181124&type=1&rankingSectionId=105&rankingSeq=1
KT 화재로 최악의 '통신 마비' 사태..피해배상액 늘듯(종합)
[이데일리 김현아 김유성 기자] 24일 오전 11시 12분 경 발생한 KT 아현지사 화재 사건으로 서대문, 용산, 마포, 은평 등에서 종일 무선전화와 인터넷, IPTV, 카드결제가 마비됐다. 무선전화는 이동전
news.naver.com
그리고 SK가입자의 경우 SK투넘버인 넘버플러스 번호로는 카톡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여섯 번째로, 무료 와이파이를 좀 더 효율적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이통 3사의 와이파이 정책 SK와 KT는 자사 고객에 한해서만 와이파이를 개방한 상태이고 유플러스만 모든 고객들에게 무료로 오픈한 상태입니다.
필자인 저 같은 경우에는 메인폰을 SK텔레콤에 무료로 T와이파이를 이용하고 있고 서브폰은 KT망을 사용하는 A모바일 A제로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는데, KT전산을 모체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KT와이파이존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지하철 내에서는 LG보다는 SK,KT와이파이가 더 많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SK,KT조합으로 스마트폰 2대를 사용한다면 무료로 와이파이를 즐길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KT와이파이가 트래픽이 몰려서 접속이 안되면 SK 와이파이로 접속하면 됩니다. 저는 현재 이렇게 번갈아가면서 요긴하게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곱 번째로, 투넘버, 투폰 서비스는 번호변경 후에 번호변경 안내서비스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개인적인 사정으로 휴대폰 번호를 변경할 수 있는데, 부가서비스로 제공하는 투폰,투넘버 부가서비스도 번호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번호변경 후에는 번호변경 안내서비스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실번호 A, 투넘버 B를 사용중일 경우 투넘버 B를 다른 투넘버 C로 변경하였습니다. 그 후에 상대방이 투넘버 B로 발신할 경우 투넘버 C로 번호가 변경되었다는 안내서비스를 신청할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투넘버, 투폰 번호는 부가서비스 형식의 가상번호이기 때문에 투폰, 투넘버 번호를 변경했다고 해서 전 번호에서 바꾼 번호로 안내서비스 연결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합니다. 그렇지만 알뜰폰으로 개통하면 실번호라 이런 문제가 사라집니다.
여덟 번째로, 투넘버, 투폰 서비스는 실명확인, 본인인증, 소액결제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이 부분은 가장 중요한 부분인데요. 번호 2개를 만드는 이유가 공사를 구분하기 위해 따로 관리하는 이유도 있지만 세컨번호를 은행, 카드, 보험사 등에서 등록하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근데 금융, 보험사에 번호를 등록할 경우 등록한 번호가 본인 번호가 맞는지 반드시 실명인증을 하는 절차가 있습니다. 그런데 투폰, 투넘버 번호들은 실명확인, 본인인증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번호 자체가 부가서비스 형식으로 제공되는 가상번호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폰 2대로 이용할 경우, 특히 세컨번호를 알뜰폰으로 지정하게 되면 알뜰폰은 실명확인과 본인 인증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정말로 세컨번호를 만들어 확실한 용도로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면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투넘버와 넘버플러스 번호는 이런 치명적인 단점이 있기 때문에 폰 2대로 이용하고, 한 대는 알뜰폰으로 개통하고, 한 대는 지갑케이스로 이용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메인 번호를 은행, 증권, 보험, 카드사에 등록하면 개인정보 유출이 쉽게 되고 스팸 문자, 전화만 늘어나게 되어 있습니다. 저도 세컨번호만 뿌리다보니 메인번호는 사용한지 19년 째가 되었는데 지금까지도 청정번호입니다
그러면 알뜰폰으로 개통하되 이심으로 개통하여 한 대의 폰으로 사용하는 게 좋은지 두 대의 폰으로 사용하는게 좋을지 알아보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이심으로 개통하는 것보다 두 대의 폰으로 사용하는 걸 권해드리는데요.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로, 폰 2개를 가지고 다니는 것이 오히려 더 번거롭지 않고 편하기 때문입니다.
대부분 많은 분들이 폰 2개를 가지고 다니면 짐이 많아지니까 불편하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절대로 그렇지가 않습니다. 요즘에는 휴대폰 케이스를 많이 이용하고 있고 종류가 다양하고 이쁘고 세련된 디자인이 많습니다. 실번호는 일반 케이스로 이용하시고 세컨번호는 '지갑 겸용 케이스' 로 구매하세요. 다들 지갑은 가지고 다니잖아요. 물론 삼성페이 같은 서비스가 생겨서 지갑을 안들도 다녀도 되지만 그래도 아직까지는 지갑이 필요하고 이동하다보면 명함이라던지 수납할 수 있는 작은 공간이 필요합니다.
인터넷에 보면 정말 지갑처럼 만든 수납공간이 많은 지갑용 스마트폰 케이스가 이쁜 제품들이 정말 많습니다. 실번호를 지갑케이스로 하고 세컨번호를 일반 케이스로 해도 무방합니다. 선택은 자유니까요. 2개 폰 중에 하나를 지갑용 케이스로 바꾸면 자연스럽게 지갑을 안 가지고 다니게 되어 폰2개를 가지고 다닌다는 핑계와 번거로움이 사라집니다.
그런데 이런 질문을 하는 분들도 가끔 있습니다. 지갑케이스 휴대폰을 잃어버리면 어떡하냐라는 질문입니다. 그려면 한가지 되물어볼게요, 그럼 살면서 지갑은 안 잃어버릴까요? 지갑도 충분히 실수로 잃어버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갑 못지않게 휴대폰을 분실하는 사람들이 더 많습니다.
지갑케이스를 사용하면 가장 큰 장점이 있는데요, 아무래도 지갑과 폰 기능이 모두 있다보니 그만큼 좀 더 자주 찾아보고 열어보기 때문에 나도 모르게 무의식적으로 일반 케이스를 낀 휴대폰 보다 더 수시로 확인하게 되어 있어 오히려 휴대폰 분실방지에 더 도움이 되었으면 되었지 절대로 번거롭지도 않고 오히려 분실되지도 않습니다. 지갑과 폰이 같이 있다보니 나중에 지갑이 어디있지? 폰을 어디다 뒀지? 이런 일이 절대로 없다는 거죠. 실제로 이렇게 사용하는 제가 직접 경험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 휴대폰 분실시 또한 휴대폰 고장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합니다.
제가 최근에 실제로 겪었던 사례를 적어드리자면, 저 같은 경우 워낙 꼼꼼한 성격이라 휴대폰 관리를 매우 잘 하는 성격인데 나이가 먹다보니 건망증이 심해지다보니 3번 연속 휴대폰을 다른 곳에 두고 가는 일이 생겼습니다. 물론 지갑케이스 휴대폰이 아닌 일반 케이스를 끼운 휴대폰이었습니다. 그런데 모두 쉽게 찾았습니다. 그 이유는 휴대폰 분실 후 '신속한 대처' 가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 사람들은 휴대폰을 분실한 것을 뒤늦게 알게 될 경우 통신사 고객센터로 분실 전화도 해야 하고 지인이나 가족들에게 연락을 기다릴 상황일 경우 폰이 없다보니 연락이 안되어 당황할 수 있습니다. 투폰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폰1대로 2대의 번호를 이용하다보니 폰을 잃어버리면 통화 자체를 할 상황이 못 되는 거죠.
그렇지만 폰 2대를 가지고 있을 경우 한대를 분실했다면 가지고 있는 다른 한 대의 폰으로 전화를 걸어 분실신고도 하고 잃어버린 폰 번호를 가지고 있는 폰 번호로 착신전환 서비스도 같이 신청하여 1차적인 대처를 할 수 있을 뿐더러 가지고 있는 폰에서 잃어버린 폰으로 신속하게 전화를 걸어 누가 받으면 찾으러 갈 수 있다는 대처도 즉시 할 수 있어 신속하게 폰을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위치 추척 어플을 2대의 폰에 미리 설치하여 공용시킨다면 더더욱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통3사 투폰서비스나 미맥스 같이 폰을 잃어버리면 두 번호 모두 이용할 수 없다는 건 매우 잘 아는 기본적인 상식입니다. 그리고 휴대폰 잃어버리고 싶어서 잃어버리는 사람은 절대로 없습니다. 실수로 흘릴 수도 있고 저처럼 건망증 때문에 두고오는 사람도 있습니다. 택시에도 휴대폰 흘리는 사람들 수도 없이 많이 봤고 술먹고 폰 잃어버리는 사람들도 많이 봤습니다.
참고로 폰 2개가 모두 삼성폰일 경우 삼성에서 운영하는 smart tings find 홈페이지에 사용 중인 폰을 등록해놓으면 폰 분실시 바로 smart tings find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분실한 폰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이 기능이 참 유용하더군요.
그리고 갑작스럽게 폰을 실수로 떨어뜨리거나 다른 사유로 고장 또는 파손될 경우 다른 폰으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합니다.
세 번째로, 배터리 걱정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많은 분들이 휴대폰을 이용하면서 가장 불편한 부분이 휴대폰 배터리 걱정입니다. 외출 도중에 방전이 되는 문제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휴대용 충전기를 가지고 다닐 정도이고 아이폰같은 경우에는 배터리 용량이 적어 휴대폰 휴대용 보조 배터리는 필수입니다.
그렇지만 휴대폰 2대를 가지고 다니면 배터리 걱정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휴대폰 2대 중에 한대의 휴대폰 배터리가 방전되면 다른 폰의 휴대폰으로 이용하면 되는 것입니다.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자면...
1. 방전 안된 휴대폰으로 착신전환을 걸어놓고 이용하면 됩니다.
2. 착신전환이 번거롭다면 배터리가 방전된 휴대폰의 유심카드를 빼서 방전 안된 휴대폰에 삽입하는 유심기변 방식으로 이용하면 됩니다. 유심카드 분실을 막기위해 사용중인 휴대폰에서 뺀 유심은 방전된 휴대폰에 삽입해 줍니다.
단 2번 처럼 되려면 두 폰의 유심크기가 같아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휴대폰 2대로 이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2대 모두 스마트폰이어야 하고 유심크기가 같은 폰으로 맞춰서 이용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유심크기가 똑 같지 않더라도 트레이와 분리되는 유심으로 활용해도 됩니다. 요즘 폰들은 거의 나노유심으로 나오기 때문에 될 수 있으면 두 폰 모두 나노유심에 맞춰주세요. 최근에 나오는 폰들이 모두 나노유심이기는 하지만 참고차 올립니다.
첫번째 항목에서 번호2개의 필요성에서도 언급했지만 번호2개를 폰2개로 분리해서 사용한다면 가족들이나 친한 친구들과의 신속한 연락이 가능해집니다. 그래서 가족들과 친한 지인들 만큼은 실번호와 세컨번호 2개를 모두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요즘에는 모르는 번호는 안 받는 사람들도 있기 때문에 가족들과 지인들에게 만큼은 2개 번호를 모두 알려주세요.
참고로 휴대폰 2대가 동시에 방전될 일은 절대로 없습니다. 제가 직접 써본 경험자로서 조언을 드린다면 투폰 부가서비스는 2개 번호가 하나의 배터리로 통화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그만큼 배터리 소진이 빨라지고 또한 인터넷, 동영상, 음악까지 이용하면 당연히 방전률이 높아질 수 밖에 없지만, 휴대폰 2대로 나눠쓰게 된다면 그만큼 배터리 소진률이 분산되어 절대로 두 폰 모두 배터리가 방전될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습니다. 저 같은 경우 두 폰에 음악, 동영상 모두 항상 같이 넣어두면서 골고루 이용하고 있습니다. 어차피 폰 한대 들고다니는 분들도 보조배터리는 가지고 다닙니다. 보조배터리 들고 다니는게 나올지 폰 한대 더 가지고 다니는게 나올지 잘 판단해보세요.
네 번째로, 두 대로 사용하다 가끔 귀찮거나 번거로울때에는 한 대만 들고 다녀도 됩니다.
평상시 두 대로 가지고 다녀도 되고 원하면 한 대만 가지고 다닐 수 있고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한 대만 가지고 나날 경우 착신전환 해버리면 해결됩니다. 단, 한 대만 가지고 나갈 경우에는 전화할 일이 생길 수는 경우를 대비하여 세컨폰으로 가지고 나가세요. 세컨폰은 모두에게 공개된 번호니까 당연히 세컨폰으로 가지고 나가야겠죠? 그리고 단 하루 착신전환 하는거 하루에 100원도 안나옵니다.
다섯 번째로, 두 대로 사용할 경우 굳이 폰을 구입하지 않아도 됩니다.
많은 분들이 폰을 자주 바꾸기 때문에 분명히 집에 굴러다니거나 짱박혀있는 공기계가 있을 거에요. 그걸로 그냥 알뜰폰 저렴한 요금제로 개통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단 위에서 언급한 대로 나노유심이 되는 공기계로 개통하면 됩니다.
'이동통신과 컴퓨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엣지 실행시 작은 창 크기 최대화 100% 해결 방법 (0) | 2024.10.14 |
---|---|
이통3사에서 제공하는 투넘버,투폰서비스 상세 소개 (0) | 2024.09.10 |
[2024년 최신정보] T wifi zone secure “연결중” 오류 100% 해결 방법! (0) | 2024.08.15 |
곰플레이어에 가장 최적화된 코덱 프로그램 (0) | 2024.07.19 |
KT에서 번호 채번시 "타사에서 사용중인 번호입니다" 멘트가 나올 경우 (0) | 2024.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