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정평가형 자격증 3

대졸학력, 경력없이 산업기사, 기사 자격증 취득할 수 있는 과정평가형 국가자격제도 소개!

[출처 : 직접 작성 +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제가 자주 방문하는 까페에서 어느 회원이 게시물 제목을 "대졸학력 없이 기사자격증을 따는 방법"이라고 적고 내용은 학점은행제를 설명하는 광고글을 보고 이 글을 올릴 필요성을 느껴 올립니다. ​ 저도 전문대 졸업 후 학점은행제로 학사학위를 받아 학점은행제의 장점도 분명히 있는 건 맞지만 기사, 산업기사를 취득하기 위해 학점은행제를 권하는 건 취지를 많이 벗어났다고 생각합니다. 학점은행제의 목적은 어디까지나 학사학위를 취득하는 것이지 자격증 취득을 위해 학점은행제를 하는 건 올바른 학습 계획은 아닙니다. ​다시 돌아와서.... ​ 고졸, 전졸 등 굳이 대학교를 졸업하지 않아도 학사학위나 경력이 없어도 산업기사와 기사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정식 코스가 있는데요...

국가공인 과정평가형 자격증 훈련과정 참여하기 전에 알아야 할 마음가짐과 자세!

[출처 : 직접 작성 ]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과정평가형 자격제도에 참여하기 전에 반드시 명심해야 할 부분들을 언급해 볼까 합니다. 규칙, 법령이 아닌 과정에 참여하는 자세 중심 위주로 올려드릴까 합니다. 첫 번째로, 무료라고 해서 쉽게 생각하지 마셨으면 합니다. 과정평가형 자격제도의 대부분은 노동부에서 전액 국비를 받을 수 있는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 훈련들이 대부분입니다.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 훈련은 내일배움카드 소지자에 한하여 전액 국비로 무료로 참여 가능하며, 단 최초 1회에 한해서만 무료로 참여가 가능하며 2회 차부터 수강 시에는 전액 자비로 부담하셔야 합니다.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 훈련들은 대부분 훈련 기간이 최소 3~4개월에서 많게는 6~7개월 이상이 되며, 수강료도 400~800만 원 사이로 ..

자격증 시험시 '검정형' 말고 '과정평가형'으로 취득하자! (과정평가형 자격제도에 대한 상세 설명)

[출처 : 직접 작성 + CQnet 홈페이지 ] 일반적으로 자격을 시험을 볼 때 다들 어떻게 응시하시나요? ​ 큐넷에 접속해서 필기원서 접수하고 필기시험 합격하면 실기시험 응시하고 응시 날자에 실기 보는 방식이 당연하다고 생각되실 겁니다. ​ 그런데 이 방식에는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필기와 실기시험 모두 암기만 잘 하면 합격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런데 암기에만 의존하다 보니 실무능력이 없어 자격증을 취득 후 취업해도 실무현장에서 바로 활용을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이런 단점을 보완하고자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2015년부터 시작된 제도가 과정평가형 제도입니다. 과정평가형 제도라는 말에서 이미 답이 나와있는데요. 말 그대로 훈련 과정별로 평가를 받은 점수로 자격증을 주는 제도라도 보시면 됩니다. ​..

반응형